본문 바로가기

건강/웰빙

겨울 찬바람 눈물흘림증, 안구건조증 주의보


겨울 찬바람 눈물 흘림증, 안구건조증 주의보


겨울철이면 눈이 뻑뻑해지고, 쉽게 충혈되는 안구건조증에 걸린 환자들이 많아집니다. 바깥 공기가 차고 건조한 상태에서 난방기를 계속 작동시켜 눈물이 평소보다 빨리 마르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으며,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일보 2015-1-20


안구건조증의 원인과 증상은?

찬바람이 가실 기미가 안 보이는 요즘 안구건조증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답니다.

최근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빈번한 사용과 TV 시청 등으로 눈을 자극하는 생활습관도 한 몫 하는데요. 눈이 뻑뻑하고 쉽게 피로해지며 안구 표면에 모래알이 구르는 듯한 이물감이나 화끈거림이 계속되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드물게는 갑자기 눈물이 흐르는 경우도 나타납니다.

특히 겨울철 외출 시 찬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줄줄 흐르며, 심한 경우 두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또한 건조한 느낌, 충혈, 통증, 눈부심 등을 호소할 수 있으며 눈꼽, 야간 빛 번짐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증상이 악화되면 각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각막혼탁이 발생해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안구건조증을 그대로 방치하면 안됩니다.


을바른 치료법과 주의할 점

안구건조증을 치료하기 위한 주된 방법은 인공눈물을 자주 넣어주세요.

인공눈물은 눈물의 3가지 성분인 지방층, 수성층,점액층이 잘 유지되도록 해주는 점안액입니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치료약이 아닌 부족한 눈물을 보충해주는 역할만 하므로 의사의 처방을 받아 정확한 원인을 찾고 그에 따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 합니다.

주의할 점은 간혹 인공눈물 대신 일반 안약이나 생리식염수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처방전 없이 구입한 안약은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있을 경우 녹내장, 백내장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생리식염수는 눈물의 중요 성분을 씻어내므로 좋지 않습니다.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안구건조증 예방법

• 난방기구나 에어컨의 바람을 멀리하고, 실내 습도는 60% 정도를 유지

• 하루 8컵 이상의 수분 섭취

• 자극적인 눈화장이나 장기간의 렌즈 사용을 피하고 안경을 착용하세요.

• 책이나 모니터 스마트폰 등을 장시간 이용할 경우 자주 눈을 깜빡여주고 규칙적으로 쉬는 시간을 가집니다.

• 눈이 건조할 때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인공눈물을 씁니다.

• 안구건조증에 좋은 식품으로는 오메가3 지방산 등 의 영양소가 퓽부한 등푸른 생선이나 견과류가 있습니다.

• 눈의 피로감이 클 때는 눈가를 마사지해 피로를 풀어줍니다. 따뜻한 물수건으로 눈 주위를 5~10분 정도 온찜질을 해줍니다.